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국 고향은?

by 할수있따! 2020. 12. 15.
반응형

조국 고향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조국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법률관련 지식인이자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는 조국씨입니다. 딸의 학력 관련 논란과 아파트 구매 관련 대출 및 다양한 논란이 있기도 하지만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지식인인 것은 부인 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오늘은 이런 조국씨에 대해 다양한 정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국 프로필

출생일 : 1965년 4월 6일

나이 : 55세

거주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방배삼익아파트

본관 : 창녕 조씨

 

 

조국 고향은?

조국씨는 1965년 4월 6일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에서 태어났습니다. 부산남자로 화끈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카리스마도 있다는 주변의 평판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법률 관련 엘리트로서 일하였으며 우리나라 최고의 대학교인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서 일하기도 했습니다. 부동산과 대출 관련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개요

조국씨는 대한민국의 제66대 법무부 장관입니다. 조국씨는 친문 핵심 인사로 문재인 정부의 초대 민정수석비서관을 지냈고, 법무부장관 임명 과정 및 재직 중에 조국 사태라 불리는 여러 사건이 일어났으며, 장관 퇴임 후에는 기소되었습니다.

 

생애

조국씨는 대한민국 부산에서 태어났습니다. 조국씨는 1982년에 혜광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3월 서울대학교 법대에 입학하였습니다. 당시 1965년생으로 알려졌으며, 만 18세 11개월의 나이로 최연소 입학인 점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입 큰 개구리'라는 별명을 가졌던 서울대학교 재학 중에는 법과대학 언론/학술지 〈FIDES〉의 편집장을 맡았으며, 학생운동에 참여하였습니다. 조국씨와 동기였던 나경원은 자신의 저서에서 조국에 대해 "운동권 성향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고 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법학대학원에서 법학석사(LL.M.) 및 법무과학 박사(J.S.D.) 학위를 받았습니다. 조국씨는 1989년에서 1990년까지 석사장교로 군복무를 마쳤습니다. 1992년 3월 울산대학교 법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시작하였다. 조국씨는 울산대에서 법학과 교수로 임명된 해,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반 년간 수감됐고, 국제 엠네스티로부터 양심수로 선정되었습니다. 은수미도 대학교 동기로 같이 활동한 것으로 전합니다. 재판 당시 천정배 변호사가 그의 변호인단을 이끌었으며 제1심 재판장은 김황식이었습니다. 훗날 조국은 저서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에서 "국가보안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는 시대착오적이며 유례없는 법률"이라고 밝혔습니다.

 

 

조국은 2000년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2001년 12월부터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안경환의 작업이 있었다고 합니다. 조국은 1998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와 리즈 대학교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고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미국의 하버드-옌칭 연구소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하였습니다. 조국씨는 2000년 이후 참여연대의 사법감시센터 (부)소장, 부운영위원장으로 시민운동에 참여하였고 2007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대학교 대외협력 부본부장을 역임하였습니다. 조국씨는 대법원장 추천으로 2007년 12월 국가인권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2009년부터 대법원 제2기 양형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고 한국형사법학회, 한국형사정책학회, 한국비교형사법학회, 한국피해자학회 등 여러 학회의 상임이사이며, 2013년 한국경찰법학회 회장, 2015년 한국형사정책학회 부회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정계활동

조국씨는 2011년 성남시 분당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민주당 후보로 제안받았으나 거절했습니다. 조국씨는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의 공천심사위원장을 제안받았지만 다시 한번 거절하였습니다. 조국씨는 2014년에도 서울시 교육감 출마설이 제기되자, 의사와 능력이 없다고 선언하였습니다. 2017년 5월 11일 문재인 정부 초대 민정수석으로 임명되면서 서울대학교 교수직을 휴직했으며, 민정수석에서 물러나면서 2019년 8월 1일 복직했으나 법무부 장관 후보에 지명되면서 2019년 9월 9일 다시 휴직했다가 장관직에서 물러난 10월 15일에 복직했습니다.

 

 

학력

- 1976년 구덕국민학교 졸업

- 1979년 대신중학교 졸업

- 1982년 혜광고등학교 졸업

- 1986년 서울대학교 공법학 학사

- 1989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석사

- 199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 박사과정 수료

- 1995년 미국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법학 석사(LL.M.)

- 1997년 미국 UC 버클리 법학대학원 법학 박사(J.S.D)

 

 

약력

- 1986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졸업

- 1988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준비위원회

- 1989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졸업

- 1990 예비역 소위 전역

- 1990 서울대학교 법학과 조교

- 1991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박사과정 수료

- 1992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전임강사

- 1994 일주학술문화재단 해외박사과정 장학생

- 1995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School of Law, 법학석사(LL.M.)

- 1997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School of Law, 법학박사(J.S.D.)

- 1998 영국 University of Leeds Centre for Criminal Justice Studies, 방문연구원

- 1998 영국 University of Oxford Centre for Socio-Legal Studies, 방문연구원

- 1999 울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법학과 조교수 2000 동국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 조교수

 

 

2000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부소장 2000 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원회 자문위원

2001 대법원 양형제도연구위원회 위원

2001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2002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소장

2002 Global Forum on Fighting Corruption and Safeguarding Integrity, 워크숍 담당자

2003 대법원 법관인사제도개선위원회 위원 2003 경찰청 경찰혁신위원회 위원

2003 여성부 성매매방지대책자문단 자문위원

2003 국무조정실 성매매방지대책자문단 위원

2003 국제검사협회 서울총회 자문단 위원

2003 정암 형사법 학술상

200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부교수

2004 대검찰청 인권존중을 위한 수사제도•관행개선위원회 위원

2004 대검찰청•경찰청 수사권조정자문위원회 위원

2004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학생담당부학장

2004 한국의 미래 열어갈 100인 수상

 

 

2005 미국 Harvard-Yenching Institute, Visiting Scholar

2005 한국을 이끌 60인

2006 법무부 감찰위원회 위원

2006 기초학문융성 우수학술도서

2007 참여연대 운영위원회 부위원장

2007 대법원 양형위원회 전문위원

2007 법무부 검찰인권평가위원회 평가위원

2007 서울대학교 대외협력본부 부본부장

2007 국가인권위원회 인권위원

2008 대검찰청 검찰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08 우수연구상

2009 대법원 양형위원회 위원

2009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2010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2011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2012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2015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2017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비서관

2019 제66대 법무부 장관

 

 

저서

실천법학입문, 학민사, 1991년 10월 1일 *편역*

형사법의 성편향, 박영사, 2001년 3월 1일 / [#전면개정판#], 2018년 9월

양심과 사상의 자유를 위하여, 책세상, 2001년 8월 30일

형사절차와 취약계층, 사람생각, 2003년 7월 *편저*

성매매, 사람생각, 2004년 2월 1일

위법 수집증거 배제법칙, 박영사, 2005년 3월 20일 / [#전면개정판#], 2017년 9월

유죄답변협상의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 관악사, 2006년

성찰하는 진보, 지성사, 2008년 3월 24일

보노보 찬가 (정글자본주의 대한민국에서 인간으로 살아남기), 생각의나무, 2009년 5월 11일 / 지금부터 바꿔야 하는 것들 [#개정증보판#], 보아스, 2012년 11월 12일

조국 대한민국에 고한다, 21세기북스, 2011년 1월 3일

조국의 만남 (우리 시대 최전선을 만나다), 쌤앤파커스, 2013년 3월

왜 나는 법을 공부하는가, 다산북스, 2014년 6월 15일

절제의 형법학, 박영사, 2014년 12월 25일 / [#개정판#], 2015년 5월 30일

 

 

역서

인권의 좌표, 명인문화사, 2010년 3월 29일 [엮음: 조국 / 필자: James W. Nickel]

사회권의 현황과 과제, 경인문화사, 2017년 2월 17일 [엮음: 조국 / 공저: 남기철 외 10명]

경제민주화의 이론과 과제, 경인문화사, 2017년 3월 [엮음: 조국 / 필자: 이병천 외 10명]

차이의 정치와 저의, 모티브북, 2017년 9월 25일 [옮김: 조국, 긴도균 / 필자: Iris Marion Young]

 

 

공저

주체사상비판 1, 새길, 1989년 12월 [공저: 이진경, 진중권]

아웃사이더 05, 아웃사이더, 2001년 9월 [공저: 박철화, 백민석, 유상욱, 진중권, 김상봉, 홍기돈, 박보낮, 송정민, 한윤형]

배신 (21세기를 사는 지혜), 한겨례출판사, 2008년 9월 12일 [공저: 김용철, 정혜신, 진중권, 정재승, 정태인]

로스쿨 협법각론, 박영사, 2009년 9월 [공저: 신동운, 한인섭, 이용식, 이상원]

진보집권플랜, 오마이북, 2010년 11월 5일 [공저: 오연호]

로스쿨 형법총론, 박영사, 2011년 2월 [공저: 신동운, 한인섭, 이용식, 이상원]

불량 사회와 그 적들 (좋은 시민들이 들려주는 우리 사회 이야기), 알렙, 2011년 4월 25일 [공저: 장하준, 도정일, 김두식, 엄기호]

@좌절+열공, 서해문집, 2011년 8월 [공저: 도종환, 정혜신, 정희진, 강풀, 강신주, 김진혁, 김진숙, 엄기호]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공부, 상상너머, 2011년 11월 17일 [공저: 하승창, 신영복, 백낙청, 오연호]

그대 아직도 부자를 꿈꾸는가, 양철북, 2011년 12월 [공저: 박경철, 정태인, 이범, 나임윤경, 윤구병, 신영복, 이이화, 심상정]

 

길은 걷는 자의 것이다, 한겨례출판사, 2012년 7월 [공저: 김진숙, 정연주, 홍세화, 정재승]

박래군 김미화의 대선 독해 매뉴얼, 클, 2012년 9월 3일 [공저: 박래군 외 10명]

그 남자 문재인, 리얼텍스트, 2012월 9월 [공저: 문재인, 한승헌, 박원순]

우리는 유권자다!, 알마, 2012년 11월 [공저: 황석영, 우석훈, 김헌태, 정태인, 한홍구]

현대의 법과 법학, 울산대학교출판부, 2014년 2월 [공저: 오문완, 김유미, 도회근, 유영일, 이계수, 이정훈, 고문현]

그가 그립다, 2014년 5월 [공저: 유시민 외 20명]

입에 풀칠도 못하게 하는 이들에게 고함, 북콤마, 2016년 8월 [공저: 김동춘, 김찬호, 정태인, 손아람]

치유의 인문학, 위즈덤하우스, 2016년 11월 [공저: 진중권, 서경식, 박노자, 박상훈]

 

 

 

글을 마치며

조국씨는 많은 논란이 있습니다. 가족과 관련된 문제부터 하여 아파트 및 재산 관련하여 대출 문제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현재는 소송중에 있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뛰어난 지식인으로 일할 수 있기에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신용카드 빚만 쌓이고 연말정산을 하면서도 대출빚에 눈물만 흘리는 국민을 위해, 재정은 어려워지고 수익은 줄어들며 대출빚만 쌓이는 기업과 자영업자들을 위해 많은 일을 해주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블로그 안에 다양한 정보가 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김남국 고향은?

김남국 고향에 대해 알아보자 대한민국의 젊은 정치인으로 맹활약하고 있는 김남국씨입니다. 법조계에 먼저 입문하여 많은 활약을 보였고 이후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현재까지 젊은 정치인답

akfgksmseofh.com

 

 

김종인 고향은?

김종인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박정희 대통령시절부터 많은 정치적 활동을 하며 정치계 원로처럼 느껴지는 김종인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연세에도 불구하고 젊은 사람 못지않은 활

akfgksmseofh.com

 

 

배현진 고향은?

배현진 고향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배현진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모의 아나운서와 앵커출신이자 정치에 입문하며 많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배현진씨입니다. 가장 경쟁률이 심하던

akfgksmseofh.com

 

댓글